무식, 유식
'무식'과 '유식'

무식
[명사] 無識 (없을 무, 알 식)
1. 배우지 않은 데다 보고 듣지 못하여 아는 것이 없음.
2. 행동 따위가 격에 맞거나 세련되지 않고 우악스러움.
■ 유의어 : 목불식정, 몰상식, 무지, 무지몽매, 문맹, 일자무식
유식
[명사] 有識 (있을 유, 알 식)
1. 학문이 있어 견식이 높음. 또는 그런 지식.
■ 유의어 : 다식, 박식, 박학, 박학다식
■ 반의어 : 무식, 박학
[명사] 侑食 (권할 유, 밥 식/먹을 식)
1. (민속)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제주(祭主)가 술을 다 부은 다음 숟가락을 제삿밥 가운데 꽂고 젓가락 끝이 동쪽으로 가게 놓은 다음 재배한다.
2. (역사) 임금과 함께 음식을 먹으면서 임금에게 음식을 권하던 일.
[명사] 唯識 (오직 유, 알 식)
1. (불교) 마음의 본체인 식(識)을 떠나서는 어떠한 실재(實在)도 없음을 이르는 말.
2. (불교) 법상종의 주요 경전. 바수반두의 유심(唯心) 사상의 대표작인 ≪유식삼십송≫을 해석한 여러 학설을 중국 당나라 현장이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번역하였다. 팔식(八識)을 자세히 말하여 인식의 과정을 명확히 하고 실천 수행의 다섯 계위를 밝히고 있다.
3. (불교) 세친보살이 지은 책. 외도(外道)와 소승(小乘)의 잘못된 생각을 깨뜨리고 유식의 정의(定義)와 교리를 밝히었다.
■ 유의어 : 성유식론, 유식론, 유식이십론
[명사] 遊食 / 游食 (놀 유, 밥 식/먹을 식) / (헤엄칠 유, 밥 식/먹을 식)
1.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
■ 유의어 : 도식, 무위도식, 와식
[명사] 遊息 / 游息 (놀 유, 쉴 식) / (헤엄칠 유, 쉴 식)
1. 마음 편히 쉼.
■ 유의어 : 안식, 영식
[명사] 遺式 (남길 유, 법 식)
1. 옛날부터 전하여 오는 방식.
*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표준국어대사전, 낱말-유의어/반의어